티스토리 뷰
목차
음악은 인간의 감정을 자극하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며 심리적 안정을 제공한다. 음악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 감정 조절, 추억 회복을 한다. 영화 OST는 단순히 배경음악을 넘어 청중의 심리적 상태를 조절하고, 감정적으로 깊이 연결 시킬 수 있다.특히, 90년대 영화 OST가 우리들에게 어떤 강렬한 감정적 경험을 제공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기억과 감정을 깊이 자극했던 OST는 무엇이 있었으며, 음악 치료사들이 본 심리 효과는 무었이었는지 살펴보자.
1. 90년대 영화 OST의 심리 효과
- You’ve Got a Friend in Me – 토이스토리
유년시절, 장난감이 내 친구이자 보물이었던 시절이다. 토이스토리의 OST를 들으면서 따라부르지 않았던 어린이가 누가 있었을까. 그 만큼 이 곡의 경쾌하고 따뜻한 멜로디는 우정과 연대감이라는 느낌을 주었다. 듣기만해도 긍정적이고 유쾌한 감정이기에, 이 곡을 들을 때마다 어린 시절의 따뜻한 기억이 소환된다.
이 친근한 멜로디가 정서적으로 위축된 내담자에게 활력을 불어 일으킬수가 있기에, 치료 세션에서 환자의 심리적 장벽을 낮추는 데 활용된다.
- Kiss From a Rose – 배트맨 포에버
그리운 사랑을 이야기 하도 있는 배트맨포에버 영화. 그 복잡한 감정에서 따뜻하면서도 웅장한 멜로디가 그리움에 대해 복잡한 감정을 더해주고 있다. 음악을 통해 내면의 감정과 깊이가 연결되며, 자기 성찰 역시 할 수 있다.
음율이 부드러워서 불안 해소와 긍정적인 정서를 회복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추억 회상과 과거의 긍정적인 감정을 연결짓는데 도움을 준다.
- Pure Imagination – 찰리와 초콜릿 공장
초콜릿을 사랑하는 아이들에게 인기있는 '찰리와 초콜릿 공장' 영화. 영화를 볼 때마다 신비로운 세계에 빠져 있는 듯 하다. OST와 함께 들을 때마다, 따뜻한 멜로디로 우리의 상상력과 호기심을 자극해 주곤 했다.
상상력을 자극하는 것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내담자의 긍정적인 사고와 창의성을 높여준다. 과거의 순수한 추억들을 떠올리게 하여, 내담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제공한다.
2. 90년대 OST가 심리적 안정에 미친 영향
90년대 OST의 다양한 심리적 이점은 무엇이 있는가. 청중에게 심리적 안정과 치유를 제공하는 곡들을 몇 가지 소개하고자 한다.
① 스트레스 해소와 안정감 제공
스트레스 지수가 높아질 때마다 심장박동 역시 높아지기 마련이다. 이럴 땐, 차분한 리듬과 부드러운 음색으로 심박수와 호흡을 안정시키고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이 좋다. 영화 타이타닉의 "My Heart Will Go On"은 서정적인 멜로디로 곡이 만들어져 있다. 이를 통해 긴장감을 낮추고 심리적 여유를 갖게 해준다. "Kiss From a Rose"는 멜로디의 깊이가 감정적이기에 청중의 불안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② 긍정적 감정과 공감 능력 강화
토이스토리의 "You’ve Got a Friend in Me" 곡은 특정 캐릭터의 감정을 반영한 가사다. 청중들이 주인공들의 우정을 나누는 모습을 보며 자신의 감정 역시 인지하도록 도움을 준다.
③ 기억 회복과 추억 소환
"Pure Imagination"은 청중에게 어린 시절의 순수한 감정과 상상력을 떠올리게 하며 안정감을 준다. 영화 OST는 특정 시기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며, 과거로 부터의 긍정적인 감정을 떠오르게 한다.
3. 음악 치료사가 추천하는 90년대 OST 활용법
- 내 감정 해소 OST
"Kiss From a Rose" – 배트맨 포에버: 내담자가 자신의 깊은 감정을 탐구하고 정리하도록 돕는 음악이다.
- 긍정적인 정서를 강화하는 OST
"You’ve Got a Friend in Me" – 토이스토리: 경쾌한 멜로디와 긍정적인 메시지로 정서에 최고다.
"Pure Imagination" – 찰리와 초콜릿 공장: 유년기의 상상력을 떠올리는데 도움을 준다.
- 추억을 소환하는 OST
"Unchained Melody" – 사랑과 영혼: 과거의 따뜻한 기억을 불러일으켜 안정감을 들도록 해준다.
"Kiss From a Rose" – 배트맨 포에버: 특정 시기의 감정과 기억, 그리고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게 해준다.
결론
오늘 글을 통해 90년대 영화 OST가 사람의 감정을 조율하고 심리적 안정, 치유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보았다. OST를 통해 감정 해소, 스트레스 완화, 추억 회복 등 다양한 심리적 효과를 느껴볼 수 있다. 음악 치료에도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음악 치료사 관점에서는 이 곡들이 인간의 내면과 감정을 치유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주는데 도움을 준다 평가하고 있다. 이 곡들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치유의 경험해 보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