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흔히 길거리에서 들을 수 있는 영화 OST는 단순히 한 국가에 머무르는 게 아닌 전세계적으로 매체를 통해 알려져 왔다. 나라별 OST를 들으면 그 문화 배경과 취향에 따라 만들졌다는 걸 알 수 있다. 그 기세는 오늘날까지도 전세계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많은 나라 중 미국, 영국, 일본, 그리고 한국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90년대 OST를 살펴보려 한다.
1. 미국
미국에서 록에서부터 발라드까지 다양한 장르의 OST가 있다. 그 곡들은 어떤 매력이 숨겨져 있을까.
"Unchained Melody" – 사랑과 영혼은 한 여성이 사랑을 잃고, 영혼으로 돌아온 연인을 만나는 이야기를 다룬 영화다. 하이라이트였던 라이처스 브라더스의 "Unchained Melody"는 도자기를 빚는 장면은 영원한 사랑에 대해 담담하게 표현하는 듯 하였다. 이런 로맨틱한 장면들이 잔잔한 OST와 어울려저 깊은 울림을 주었다.
"My Heart Will Go On" – 마이 걸 2, 한국에서는 마이 걸 2를 통해 더욱 유명해진 이 곡은 순수한 첫사랑을 담은 영화에 반영되었다. 셀린 디온의 "My Heart Will Go On"은 감성이 넘치는 사랑과 이별 음악으로 사람들 마음에 오래도록 남았다.
2. 영국
영국에서는 감미롭고 로맨틱한 로맨틱한 곡들이 많은 주목받았다. 섬세한 곡들로 인해 영화 속 이야기는 더욱 풍성하게 되었다. "Love Is All Around" – 네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 웻 웻 웻(Wet Wet Wet)의 "Love Is All Around"는 결혼식과 장례식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다양한 인간 관계와 사랑을 담은 영화에 잘 어울렸다. 단순하고도 따뜻한 멜로디는 보편적인 사랑 감정을 담아내며 영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큰 인기를 끌었다.
"Kissing You" – 로미오와 줄리엣, 셰익스피어 비극작품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로미오와 줄리엣에서는 디사이리(Des'ree)의 "Kissing You"가 주요 테마곡으로 사용되었다. 피아노와 현악기가 조화를 이루어 주인공들의 금지된 사랑을 애절하게 나타낸다. 슬픈 감정이 섬세해서 영화에 빠져든다.
3. 일본
일본에서는 큰 사랑을 받은 곡들의 특징은 부드러운 음을 가졌다는 특징이 있다. "The Wind Forest" – 이웃집 토토로 - 스튜디오 지브리 작품 이웃집 토토로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주제로 한 영화다. 히사이시 조의 "The Wind Forest"는 부드러운 멜로디가 자연과 잘 어울러서 전체적은 스토리가 따뜻하게 전달되고 잔잔한 감동을 남긴다.
"Asia no Junshin" – 러브 레터는 일본만의 섬세한 감성을 담아낸 영화다. 사랑과 옛 추억을 다룬 작품으로, PUFFY의 "Asia no Junshin"은 경쾌한 멜로디와 밝은 분위기로 아련한 감정을 환기신다. 지금은 일본 대중음악 대표곡으로 자리 잡았다.
4. 한국
90년대 한국에서는 빠질 수 없는 인기 장르는 발라드 장르다. 멜로디와 진솔한 가사가 영화 속 희생과 사랑이야기를 보여주고 있다. "Unbreak My Heart" – 와일드 - 토니 브랙스턴의 "Unbreak My Heart"는 상처가 있는 아픈 사랑을 담아낸 곡이다. 가사 속 감정을 담백하게 표현하여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주었다.
"I Will Always Love You" – 보디가드 - 휘트니 휴스턴의 "I Will Always Love You"는 한국에서도 90년대 OST를 대표하는 곡 중 하나로 큰 사랑을 받았다. 사랑의 진심을 담은 이 곡은 음악과 영화가 어우러져 잊을 수 없는 감동을 줬다.
결론
각국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주목받았다. 미국에서는 강렬한 록 음악이, 영국에서는 감미로운 멜로디와 로맨스 음악이, 일본은 섬세함이 돋보이는 OST를 선호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발라드 곡들이 인기였다.
이 OST들은 영화의 배경음악 뿐 아니라 이야기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다. 지금도 많은 이들이 90년대 OST를 들으며 그 시절 감동과 여운을 다시금 느끼고 있다. 특별했던 순간을 떠올려보고 싶을 때, 90년대 OST가 많은 도움을 줄 것 같다.